티스토리 뷰

The 10-year Treasury yield could be about to hit 3 percent - here's why this matters(180424, cnbc)


We expect 10-year Treasuries to end the year between 3 and 3.5 percent - J.P Morgan


Higher rates mean that companies will have higher costs when borrowing money, but they also mean that their debts become more expensive. As a result, companies will have less room to increase salaries, to invest their business and to give returns to shareholders. 

The particular effect of higher rates on mortgages also lowers people's ability to spend elsewhere. Therefore, society is no longer able to spend the way it has been, and this ultimately kicks off an economic crisis. 


<- 이론적으로는 충분히 가능한 얘기. & (돈 벌어야 하는) 언론이 해야 하는 얘기


Dow Drops 60 Points as 10-Year Yield Fails to Break 3%(180424, Barron's)


3%를 넘을 거라는 건 (특별하지 않은, 돌발적으로 튀어나온 게 아닌) 이미 알려진 전망

그러나 오늘 3% 돌파 실패 


장중에 쓴 위 기사 이후 후속(마감 후) 기사 

Dow Drops 14 Points, but Don't Blame Bond Yields(180424, Barron's)


What doesn't kill me only makes me stronger, right? Well, today the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didn't seem to mind higher bond yields, which almost killed it back in February. 


[180425] 10-year Treasury yield tops 3% for the first time since 2014 


So what? 몰랐나? 새로운 소식인가? 

A move in the yield above 2.9 percent in February triggered a correction for U.S. stocks. 

그럼에도 불구 또 이렇게 이슈로 삼는 이유는?

심리적 요인? 3%로 바뀌면 호가틱이라도 바뀌나? 2.9%에서 3.0%로 오른 게 놀라울 만한 일인가?

이렇게 빠를 줄은 몰랐나? 3.5% 전망치가 나온지 오래됐으며, 3월 FOMC 회의록도 이를 뒷받침.

OR

그저 조정인가. 조정은 가격과 시간 요소가 필요. 그간의 상승폭 대비, 그간의 상승기간 대비. 

그간의 상승기간을 고려한다면 올해 내내 조정이 이어져도 전혀 이상할 게 없는 지극히 정상적인

'Lasting and painful downtrend' could last until bottom due in late August.

(180425, MarketWatch)

따라서, 3%가 그렇게 대단한 악재라면 모든 주식 내다 팔고, 최선을 다해 short을 쳐야. 

그게 아니라면, 일관된 평정 유지. 

일관된 기준으로 손절할 게 있으면 손절(매도)하고, 신규 진입할 게 있으면 신규 진입(매수)하고. 

매도는 했는데 매수할 게 없다면, 현금보유하고. 

not 공포에 질린 손절(매도), not 분노의 물타기(매수)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